1. 자아개념의 수정
1) 자아개념
-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내용
- 자아개념 또는 자존심은 행동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
- 내담자의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긍정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상담의 중요한 과정적 목표
2) 자아개념의 형성
- 성장 과정에서 부모, 동료, 교사 등의 '중요한 타인'들이 자기를 어떻게 보고 믿는가에 따라 많은 영향
- 자기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타인이 자신을 보는 방향으로 자아 개념이 형성되기 쉬움
역설적 의도는 '예기적 불안을 회피하거나 집착하지 말고 바로 직면하도록 하는 것이다
- Frankl, 1960 -
2. 역설적 의도
1) 가정적 근거
- 역설적 의도는 '두려워하다 보면 오히려 증가하는 반면, 두려움의 내용이나 증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면 두려워하는 것이 어리석은 것으로 느껴진다
- 예상되는 불안 및 공포를 의도적으로 익살을 섞어 과장되게 생각하고 표현하면 그 불안에서 해방
- 자기의 불안 및 공포가 얼마나 어리석은지 객관적 입장에서 보는 증상과 태도의 분리를 겨냥
2) 원리
- 행동수정의 부정적 연습과 유사
- 상담이나 심리치료 장면에서는 내담자를 두려워하는 사태에 집중적으로 노출시켜도 실제 생활 장면에서처럼 부정적 결과가 오지 않음
3. 역할연습
1) 의미
- 문제가 되는 생활 장면을 상담 장면에 재현하여 관계인물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행동반응을 학습하는 절차
- 내담자는 역할연습을 통해 자기 행동에 대한 교정을 스스로 또는 다른 역할자의 귀환반응을 통해 교정
2) 원리
- 예측되는 곤란한 대인관계의 처리방식을 익힘
- 자기와 생활배경이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
- 역할연습은 내담자 행동에 구체적이고 정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함
3) 시행 절차
- 1 - 상담의 목적, 내담자 문제의 정의, 상담목표에 따른 방법에 관해 합의가 이루어진 후에 역할연습의 취지와 기본절차를 설명
- 2 - '문제장면'의 주요 역할을 배정 : 주로 내담자의 부모, 직장 상사, 배우자 또는 연인
- 3 - 배정된 역할자의 전형적 행동양식과 최근에 실제로 있었던 대화내용을 알아봄
- 4 - 어떤 행동반응을 하고 싶은가를 알아보고 역할연습에서 시도할 행동 및 대화 장면을 설정
- 5 - 상담자는 주요 인물의 역할을 하고 내담자는 자신의 역할을 하며 새로운 행동 반응을 가능한 한 실감나게 연습
4. 본뜨기
1) 의미
- 타인의 본보기를 따름으로써 새로운 행동, 신념, 가치관 및 태도 등을 학습하는 것
- '중요한 타인'의 모범을 따르거나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배우는 것은, 스스로 처음부터 시도하는 경우보다 위험부담이 적음
-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데에 따르는 불안을 제거해주고 실제 행동의 수행절차를 안내
-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본뜨기와 관찰 학습이 이루어짐
2) 유형
- 본인과 유사한 상황일 수록 유리
묵시적인 본뜨기 | 학습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본보기의 행동을 배움 |
현시적인 본뜨기 | 학습자가 스스로 모방하고 있음을 자각 |
직접적인 본뜨기 | 실제 환경 장면에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 |
대리적인 본뜨기 | 학습자로 하여금 본보기가 되는 제3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본뜨게 하는 것 |
3) 본뜨기 시행절차
- 1 - 내담자가 배워야 할 정당한 행동 장면을 보여준 후, 내담자에게 무엇을 관찰했고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고 그 내용을 토의
- 2 - 매개물을 통한 대리적 본뜨기의 절차는 독서치료의 절차와 유사
- 3 -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활 장면이나 욕구를 반영하는 본보기 행동이 담긴 시청각 자료를 선정하여 보임
- 4 - 자료를 듣고 본 내용과 소감을 상담자와 토의
- 5 - 자료 속의 보기행동과 유사한 새 행동을 상담 장면에서 스스로 시도
- 6 - 실제 장면에서 새 행동을 시도해보도록 하고, 그 결과를 검토/강화
4) 본뜨기에 관계되는 요인
- 보기 행동에 대한 주목, 보기자극의 식별성, 본뜨기의 동기 등
- 상담자는 본뜨기와 관찰학습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상담 효과를 높여야 할 것
- 녹화 또는 녹음자료(테이프)와 같은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담자 자신이 본보기의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
- 상담관계가 하나의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본보기
독서 치료의 등장!!!! 재밌군
'심리상담 > 상담학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심리상담] 상담의 과정(1) (0) | 2023.01.27 |
---|---|
[심리상담] 상담의 방법(3) (0) | 2023.01.26 |
[심리상담] 상담의 방법(1) (0) | 2023.01.24 |
[심리상담] 인지행동적 상담 (0) | 2023.01.23 |
[심리상담] 현실치료적 상담(2) (0) | 2023.01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