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MBTI 기초
1) MBTI 측정대상
MBTI로 측정할 수 없는 것
- 지능, 질병, 스트레스, 능력, 정상과 비정상, 성숙 정도(발달 정도), 학업숙련도, 직업적응 정도
MBTI로 측정할 수 있는 것
- 심리적인 선호성 한가지
- 선천적 선호경향
2) MBTI 검사 실시 전 오리엔테이션
문항 선택 기준
- 지속적이고 일관성있게 사용하는 경향
- 자연스럽고 편안한 경향
- 습관처럼 크게 의식하지 않고 자주 쓰는 경향
- 상대적으로 더 쉽게 끌리는 경향
- 자신이 바라는 이상형이 아닌 편안한 경향
2. MBTI 검사 유의사항
1) 다루어야 할 내용
- 심리검사에 대한 불안 / 자아 보호 경향의 해소
- 비 진단적 검사
- 선천적 선호경향 이해의 중요성 (개인의 자아실현을 향한 심리적 고유성)
- 탈 신분과 탈 직분
2) 피해야 할 사항
- 시간 제한은 없으나 한 문장에 너무 오래 머물지 말 것
- 의식적으로 일관성 있게 응답하려 하지 말 것
- 이상적인 것이나 앞으로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문항에 응답하지 말 것
- 좋고 나쁜 유형은 없으므로 의식적으로 대답하지 말 것
3) MBTI 검사 적용이 부적절한 경우
- 정신질환자
- 극심한 심리적 불안 상태 및 생활에서 극심한 변화를 겪은 사람 (이혼, 사망, 이사, 실패, 행운, 직업전환 등)
- 타인으로부터 검사 실시를 강요 당하는 사람
- 전화로 하거나 대독이 필요한 경우
- 문항 해독 능력이 적절치 않은 사람 (성인용 MBTI는 중학교 3학년 이상)
3. MBTI 기본 해석
1) 자가 채점 원점수의 의미
- 수치에 대한 해석은 하지 않는다
- 각 선호 지표의 응답수를 단순히 합산한 것이다
- 각 선호 지표에 대한 개인의 선호 문자와 선호 분명도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
2) 검사 해석 시 주의점
- 반드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가에 의해 해석
- 자신과 주변인의 성격유형을 파악하되 그것을 규정화 시키거나 편견을 가져서는 안됨
- 편안한 상태에서 검사에 임했는지 확인
- 현재 갑작스러운 변화를 겪고 있는지 파악 (결혼, 이별, 취업, 시험 등)
- 가족들의 유형이나 성장 배경 영향을 고려
- 서로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도구로 활용
'심리상담 > 상담학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BTI심리분석] MBTI 성격유형검사 (0) | 2023.02.19 |
---|---|
[MBTI심리분석] MBTI 구조와 기질 (0) | 2023.02.11 |
[MBTI심리분석] MBTI 선호지표 (0) | 2023.02.09 |
[MBTI심리분석] MBTI 이론적 배경 (0) | 2023.02.08 |
[MBTI심리분석] 심리검사의 종류 (0) | 2023.02.07 |